본문 바로가기
음악/음악이론

무조음악과 12음 기법: 현대 음악의 혁신

by Jooooa 2025. 4. 3.

무조음악(Atonality)12음 기법(Twelve-tone technique)은 20세기 초반, 전통적인 조성 음악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작곡 기법이다. 다양한 작곡 기법이 새롭게 생겼지만 그중 무조음악(Atonality)과 12음 기법(Twelve-tone technique)은 대표적인 혁신적인 기법들이다.

1. 무조음악(Atonality)

무조음악(Atonality)은 특정한 조성(Key) 없이 구성된 음악을 의미하며, 전통적인 장음계나 단음계 체계를 벗어나 모든 음이 동등한 역할을 가진다. 20세기 초반, 작곡가들은 기존의 조성 음악이 제공하는 예측 가능성을 넘어서기 위해 무조음악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무조음악의 특징

  1. 조성의 부재: 특정한 중심음(Tonic)이나 화성 진행이 존재하지 않는다
  2. 불협화음의 자유로운 사용: 기존의 음악에서 불협화음으로 여겨지던 음정이 제약 없이 사용된다
  3. 새로운 구성 방식: 기존의 기능 화성 대신, 음들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음악을 전개한다
  4. 선율과 화성의 동등한 역할: 선율과 화성이 기존보다 더 평등한 구조를 가진다

무조음악 예시

대표적인 무조음악 작곡가와 작품

  • 아르놀트 쇤베르크 (Arnold Schoenberg)
    《달에 홀린 피에로》(Pierrot Lunaire, 1912)
  • 알반 베르크 (Alban Berg)
    《보체크》(Wozzeck)
  • 안톤 베베른 (Anton Webern)
    《현악 4중주 작품 5》(String Quartet Op.5)

무조음악은 단순한 혼돈이 아니라, 새로운 논리와 구성 원칙을 바탕으로 한 음악적 실험이었다.

 

2. 12음 기법(Twelve-tone technique)

12음 기법은 무조음악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아르놀트 쇤베르크가 고안한 작곡 기법입니다. 이는 옥타브 내 12개의 모든 음을 동등하게 사용하여 조성의 중심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곡된다.

12음 기법의 기본 원리

음렬(Prime row) 설정

12개의 음을 특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음렬(Series)"을 생성한다

12음 기법 : 음렬 생성

음렬 변형 방식

  • 기본형(Prime, P): 처음 정한 음렬 그대로 사용
  • 역행(Retrograde, R): 음렬을 거꾸로 연주

12음 기법 : 역행

  • 반전(Inversion, I): 음정 관계를 반대로 변형

12음기법 : 반전

  • 역행 반전(Retrograde Inversion, RI): 역행과 반전을 동시에 적용

12음기법 : 역행 반전

음렬을 활용한 작곡

  • 선율뿐만 아니라 화성, 리듬 등에도 음렬을 적용할 수 있다.
  • 동일한 음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여 조성이 형성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12음 기법을 사용한 대표적인 작곡가

  • 아르놀트 쇤베르크
    《피아노 모음곡 Op.25》 (최초의 12음 기법 작품)
    《바이올린 협주곡 Op.36》
  • 알반 베르크
    《룰루》(Lulu)
  • 안톤 베베른
    《교향곡 Op.21》

 

3. 무조음악 vs 12음 기법 차이점

구분 무조음악 12음 기법
개념 조성이 없는 음악 12개의 음을 동등하게 배열하여 조성 감각을 없앰
체계 자유로운 구성 음렬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 작곡
조성 조성 중심이 없음 조성이 생기지 않도록 음렬로 통제
주요 작곡가 쇤베르크, 베르크, 베베른 쇤베르크, 베르크, 베베른
사용 기법 불협화음, 클러스터, 모티브 변형 음렬, 역행, 반전, 역행반전

 

 

4. 무조음악과 12음 기법의 중요성

 

20세기 음악에서 무조음악과 12음 기법은 조성 음악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었다. 이를 통해 작곡가들은 새로운 음악적 언어를 탐색하고 실험할 수 있었으며, 이후 현대 음악, 영화 음악, 실험 음악 등에 큰 영향을 주었다.

무조음악은 조성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음악 스타일을 의미하며, 12음 기법은 무조음악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작곡 방식이다.

무조음악과 12음 기법을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더욱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음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