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한민국 청년 예술인을 위한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함께하는 ‘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 사업이 신설되었는데, 간단히 말해 매월 5만 원 또는 10만 원씩 적금하면, 그만큼 정부가 똑같이 지원해 주는 제도이다.
예술가로서 경제적 불안정에 시달리는 청년들에게는 정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으로, 예술하는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희소식이니 꼭! 끝까지 읽어보길 바란다.
‘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란?
‘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는 청년 예술인이 2년간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동일한 금액을 정부에서 적립해 주는 매칭 적금 제도다. 이렇게 모인 금액은 예술인의 미래 활동 자금이나 자립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주요 특징
- 적립 기간: 2년
- 매월 납입금: 5만 원 또는 10만 원 (선택 가능)
- 정부 지원금: 납입금과 동일 금액 (최대 월 10만 원까지)
- 총 수령금액 예시:
- 매월 5만 원 × 24개월 + 정부지원 5만 원 × 24개월 = 240만 원 + 이자
- 매월 10만 원 × 24개월 + 정부지원 10만 원 × 24개월 = 480만 원 + 이자
간단 정리
2년간 240만 원을 저금하면 정부가 똑같이 240만 원을 더해서 총 480만 원과 이자를 받는 정책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청년 예술인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대상 요건
- 연령: 만 18세 이상 만 39세 이하 (1986.1.1. 이후 출생자)
- 자격: ‘예술인복지법’에 따른 예술활동증명을 완료한 자
- 소득기준: 당해 연도 기준 개인 중위소득 120% 이하
예술활동증명이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공식 시스템을 통해 예술인으로서의 활동 이력을 인정받는 제도입니다. 문학, 미술, 음악, 무용, 연극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인이 해당됩니다.
신청 일정 및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4월 23일(수) ~ 2025년 5월 8일(목) 오후 6시까지
- 신청 방법: 예술인생활안정자금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
제출 서류
- 소득금액증명원(직전 연도 기준)
- 예술인 권리보호 교육 수료증
- ‘문화예술 분야 성희롱·성폭력 예방’ 교육 수료 필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예산 시뮬레이션
월 납입 금액 | 2년 본인 납입 총액 | 정부 매칭 금액 | 수령 총액 (이자 제외) |
5만원 | 1,200,000원 | 1,200,000원 | 2,400,000원 |
10만원 | 2,400,000원 | 2,400,000원 | 4,800,000원 |
은행 이자까지 합산되면, 실질 수령 금액은 더 늘어날 수 있다.
어떤 예술인에게 적합할까?
이 정책은 다음과 같은 청년 예술인에게 매우 유용하다.
- 활동 초기의 예술가: 작품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자금이 필요한 경우
- 불규칙한 수입을 가진 프리랜서 예술인
- 장기적으로 자립 기반을 준비 중인 청년
매월 5만 원, 커피 몇 잔 아낀다는 마음으로 적금을 시작하면, 2년 뒤 큰 보상이 돌아오는 구조다.
문의 및 추가 정보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고객센터: ☎ 02-3668-0200 (운영시간: 평일 09:00~18:00)
- 재단 공식 홈페이지: https://www.kawf.kr
- 신청 포털: https://www.artloan.kr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예술인의 복지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증진하고 예술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
www.kawf.kr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생활안정자금(융자)
www.artloan.kr
놓치면 아까운 기회
예술은 가치를 창출하지만,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구조 속에 살아가는 예술인들이 많다. 이번 ‘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는 단순한 복지 정책이 아닌, 예술인의 미래를 위한 투자이자 자립의 발판이 될 수 있다.
지금 바로 예술인생활안정자금 누리집에서 신청하시고, 2년 후의 나에게 큰 선물을 하길 바란다
'음악 > 음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로 지원사업 2025: 예술인을 위한 지원 안내 (0) | 2025.04.04 |
---|---|
재즈의 역사: 기원부터 현대까지의 변화와 발전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