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성학4

대위법 : Counterpoint 대위법(Counterpoint)은 독립적인 두 개 이상의 선율이 동시에 연주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음악적 기법을 말한다. 이는 16세기 르네상스 음악과 18세기 바흐의 푸가(Fugue)에서 발전했다. 현대 음악에서도 중요한 작곡 기법으로 사용된다. 대위법은 각 성부가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음악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대위법의 주요 원칙1. 독립적인 선율 구성각 성부는 독립적으로 움직이면서 하나의 성부가 다른 성부와 지나치게 유사하면 안 된다. 서로 다른 두 멜로디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대위법이기 때문이다.2. 병행 5도와 8도 금지고전적인 대위법에서는 성부 간 병행 5도와 8도를 피하는 것이 원칙이다.예를 들면 윗 성부 멜로디가 도, 레, 미 일 때 아래 성부의 멜로디가 파, 솔,.. 2025. 3. 8.
작곡 기초이론 : 멜로디, 화성진행, 리듬, 구조, 대위법 작곡은 단순한 음의 나열이 아니라 감정을 전달하고 청중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는 예술적 과정이다.음악을 창작할 때 중요한 핵심 요소는 멜로디, 화성진행, 리듬, 구조, 대위법이다.이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조화롭고 감각적인 곡을 만들 수 있다. 멜로디 (Melody) : 곡의 핵심을 이루는 선율1. 멜로디란?멜로디는 음악에서 가장 직관 적으로 인식되는 요소이다. 음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며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좋은 멜로디는 쉽게 기억되며 감정적인 연결을 만들어낸다.2. 멜로디를 만드는 주요 요소- 모티브(Motive)짧은 음의 패턴으로 곡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말한다.- 멜로딕 컨투어(Melodic Contour)음의 오르내림 패턴을 뜻한다. 곡의 분위기를 결정.. 2025. 2. 26.
Melodic minor scale(가락단음계) 구조, 12 키 연습 자연단음계에 없는 이끔음 만들어주고자 화성단음계가 생겼다.7번째 음을 임의로 올려주면서 이끔음이 생겼지만 6음과 7음이 증 2도가 되면서 멜로디적으로 부드럽지 못하고 연주하기 까다로워졌다.증 2도를 없애 수월한 연주를 하기 위해 6번째 음도 반음 올려주면서 만들어진 마이너스케일이 가락단음계이다.구조가락단음계는 화성적으로 만들어진 음계가 아니기 때문에 상행과 하행이 다르다.상행할 때는 멜로디적인 이유로 만들어진 음계를 사용하고 하행할 때는 화성적인 이유로 만들어진 음계를 사용한다.상행은 내추럴마이너와 비교했을 때 6음과 7음이 반음 올라간 구조이며, 하행은 내추럴마이너 구조와 같다.A키로 예를 들어보면 상행은 A B C D E F# G# A가 되며 하행은 A G F E D C B A가 되는 것이다.그 구조.. 2025. 1. 21.
음정 음정은 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한 가지이다.특히 화성을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실용음악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익혀야 한다.음정은 두음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영어로는 'Interval(간격)'이라고 한다.음정을 나타내는 단위는 바로 '도수'이다. 두 음 간격에 따라 1도, 2도, 3도 등으로 표현한다.서로 같은 두 음의 간격을 1도라고 하고 음 사이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2도, 3도, 등으로 늘어난다.오선 상에서의 기본 음정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음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이는 두 음이 잘 어울리는지, 안 어울리는지의 정도에 따라 나뉜다.먼저 잘 어울리는 두 음정을 완전 음정이라고 하는데 1도, 4도, 5도, 8도이다.나머지 2도, 3도,.. 2024.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