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 파이브 원(II-V-I) 진행은 재즈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화음 진행이다.
이 진행은 가장 안정적인 진행인 SD-D-T을 유지하면서 완전 4도 상행(또는 완전 5도 하행) 진행이기 때문이다.
메이저 다이아토닉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2도는 Dm7, 5도는 G7, 1도는 CM7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IIm7, V7, IM7이라는 규칙이 발생한다.
여기서 1도 즉 CM7을 타깃 코드라고 한다. 투파이브원은 타깃코드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GM7이 타깃코드라면 II-V-I은 Am7 D7 GM7이 되는 것이다.
II-V-I진행은 그 자체가 SD-D-T의 진행을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IIm7, V7, IM7로 코드 성격이 정해진다.
하지만 곡 흐름과 연주자의 의도에 따라 코드 성격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무조건 1도를 타깃으로 하는 진행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C키이지만 4도인 FM7를 임의로 1도로 보고 FM7을 향하는 투 파이브(Gm7 C7 FM7)가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2도, 3도, 6도 또한 각각 투파이브 진행을 만들 수 있다. 때문에 C키에서 다이아토닉 코드를 제외한 다양한 코드가 나올 수 있게 된다.
IIm7 - V7 - IM7
메이저 스케일에서 나오는 다이아토닉 코드는 IM7, IIm7, IIIm7, IVM7, V7, VIm7, VIIm7(b5)이다.
메이저 다이아토닉 코드가 가진 구조를 적용하면 2도는 m7, 5도는 Dom7, 1도는 M7이 된다.
IIm7(b5) - V7 alt - Im7
마이너 스케일에 대한 II-V-I은 내추럴 마이너를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5도에서는 이끔음(7음)이 으뜸음(1음)으로 해결하려는 성질과 도미넌트가 가지고 있는 트라이톤의 해결감을 위해 멜로딕 마이너의 5도를 사용한다.
즉 Am키를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2도인 Bm7(b5)와 1도인 Am7을 활용하지만 5도는 A melodic minor의 5도인 E7을 사용한다.
즉 IIm7(b5), V7, Im7이 되는 것이다.
이때 V7은 alterd화음으로 b9, #9, b13을 주요 텐션으로 사용한다.
특히 V7에서 중요한 3음과 7음에 #9음을 함께 연주하는데 그 이유는 #9음이 b3음과 같은 음이기 때문이다.
내추럴 마이너 스케일의 5도는 m7으로 3음이 플랫된 형태이다. 때문에 트라이톤이 만들어지지 않아 도미넌트 모션이 만들어지지 않는 것이다.
도미넌트 모션을 만들기 위해 임의로 5도를 Dom7으로 만들어준 것이기 때문에 #9음을 함께 연주해 주면 훨씬 더 자연스러운 연주를 할 수 있다.
'음악 > 재즈피아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jor II-V-I 12key (1) | 2025.02.01 |
---|---|
Major II-V-I 구조, 텐션, 보이싱, A form, B form (0) | 2025.01.31 |
Tension (텐션) (0) | 2025.01.22 |
Blues Scale 12key (0) | 2025.01.15 |
Blues Scale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