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악/음악이론9

펑크(Punk)와 훵크(Funk) Funk와 Punk는 음악 장르 중 가장 이름이 비슷한 두 장르이다. 단어 하나 차이지만 이 둘은 전혀 다른 리듬, 사운드, 철학, 그리고 연주 스타일을 가진다. 각각의 장르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했고, 연주자들 역시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으로 음악에 임한다. 이번 글에서 Funk와 Punk의 장르적 차이는 물론, 각 악기 연주자들이 어떤 리듬 감각과 마인드로 음악을 만드는지 깊이 있게 살펴보자. 장르적 기원과 정신Funk : 리듬과 몸의 해방Funk는 1960년대 후반 미국 흑인 사회에서 등장한 장르다. James Brown, Sly & the Family Stone, Parliament-Funkadelic 같은 아티스트들이 주도했으며, 소울과 재즈, 리듬 앤 블루스(R&B)의 유.. 2025. 6. 18.
스케일(Scale)과 모드(Mode) 음악을 공부하다 보면 스케일(Scale)과 모드(Mode)를 공부하게 된다. 이 둘은 겉보기에는 비슷해보이지만 실제로는 음악적 기능과 사용 방법에서 중요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 글을 통해 스케일과 모드의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각각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가길 바란다.스케일(Scale)이란?음악에서 사용되는 음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구조를 말한다. 즉 음을 높낮이 순서로 배열한 계단식 음계이다. 스케일은 어떤 음들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이고 곡의 분위기나 중심 음정(tonal center)을 결정하는 중요한 재료이다.Major scale, minor scale, Blues scale, Pentatonic scale, Alterd scale 등 수많은 스케일이 존재하고 각각의 스케일은 고유한 분위기와.. 2025. 6. 14.
무조음악과 12음 기법: 현대 음악의 혁신 무조음악(Atonality)과 12음 기법(Twelve-tone technique)은 20세기 초반, 전통적인 조성 음악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작곡 기법이다. 다양한 작곡 기법이 새롭게 생겼지만 그중 무조음악(Atonality)과 12음 기법(Twelve-tone technique)은 대표적인 혁신적인 기법들이다.1. 무조음악(Atonality)무조음악(Atonality)은 특정한 조성(Key) 없이 구성된 음악을 의미하며, 전통적인 장음계나 단음계 체계를 벗어나 모든 음이 동등한 역할을 가진다. 20세기 초반, 작곡가들은 기존의 조성 음악이 제공하는 예측 가능성을 넘어서기 위해 무조음악을 탐구하기 시작했다.무조음악의 특징조성의 부재: 특정한 중심음(Tonic)이나 화성 진행이 존재하지 .. 2025. 4. 3.
Mode (교회선법) : Parallel Key 정리 앞서 선법을 한차례 다뤘을 때는 나란한조를 기준으로 으뜸음이 서로 다르지만 구성음은 똑같이 사용하는 관계에 있는 나란한 조(Relative Key) 관계를 통해 모드로 정리해 봤다.오늘은 같은 으뜸음을 가지지만 구성음이 서로 다른 즉 서로 다른 모드인 같은 으뜸음 조(Parallel Key)를 기준으로 모드를 정리해 보도록 하자.쉽게 온음과 반음을 이용해서 각 모드가 가지고 있는 구조에 맞춰 음을 나열하여 찾는 방법이다.즉 C부터 시작하는 7개의 모드, F부터 시작하는 7개의 모드 등 각 음부터 시작하는 7개 모드를 온음과 반음을 활용하여 찾는 것이다.모드를 찾을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각 모드별로 반음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구성음을 넘버링했을 때 몇 번과 몇 번이 반음인지 확인하고 그 구조를.. 2025. 2. 9.
Mode (교회선법) : Relative Key 정리 선법은 서양음악이 생겨난 뿌리인 Major scale과 minor scale이 생겨난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옥타브 안에 음을 각 구조에 맞게 차례로 배열한 음계 즉 음과 음 사이 구조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는 것이다.즉 같은 7음으로 이뤄진 음계라도 온음과 반음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선법이 되는 것이다.한국 선법에는 평조, 계면조 등이 있듯이 각 나라에서 사용하는 선법은 서로 다르다.특히 오늘 우리가 알아볼 선법은 교회선법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하던 중세시대 교회음악 단선율이다.교회선법은 7가지 종류가 있는데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음렬 구조에서 파생된 것이다.즉 온음과 반음의 배열과 구조는 바뀌지 않지만 시작하는 음이 바뀌어 그 순서가 바뀌는 것이다.C Major scale을 구성하는.. 2025. 2. 8.
minor Diatonic Chord Natural minor, Harmonic minor, Melodic minor 세 가지 스케일 모두 각각 구성음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다이아토닉 코드의 구조도 조금씩 다르다. 각 스케일이 가진 특징이 다르고 느낌 또한 다르다. 때문에 각 스케일에서 나오는 다이아토닉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여 알고 연주 또한 할 수 있어야 한다.Natural minor Diatonic Chord자연단음계 구조를 분석해 보면 으뜸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이다.A부터 규칙에 맞춰 나열해 보면 A, B, C, D, E, F, G가 된다.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음을 가지고 각 노트에 3도씩 3음을 쌓으면 다이아토닉 코드를 찾을 수 있다.  구조A를 기준으로 A, B, C, D, E, F, G 음을 사용하여.. 2025.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