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신나고 빠른 음악이든 느린 음악이든 어떤 음악을 듣든지 몸을 움직이거나 노래를 흥얼거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음악을 즐긴다.
특히 R&B 나 힙합을 들을 때면 사람들이 리듬을 탄다.
때문에 우리가 음악을 더 즐기려면 박자에 대한 공부를 해야 한다.
박자
음악에서 사용하는 고정된 단위시간이 일정수에 따라 일정하게 이뤄진 음악적인 시간을 의미한다.
4분의 2박 자일 때
단위 시간은 4분 음표 1개가 연주되는 길이를 말한다.
일정수는 2개 즉 음표 개수를 말한다.
음악적인 시간은 4분 음표가 2개 연주되는 시간을 말한다.
또한 음악이 흘러감에 따라 주기적으로 2박자마다 악센트를 가지게 된다.
단위시간, 일정수, 음악적인 시간을 통틀어 박의 배열이라고 표현하는데, 박의 배열은 박자표에 의해 정해지며 악보상에서 세로줄로 음악적 시간이 구분된다.
세로줄로 구분된 음악적 시간을 마디라고 말하며 마디 안에는 박자표에 따른 일정수가 표시되는 것이다.
박자표
위에서 설명한 박자를 바로 알아볼 수 있도록 악보에 표시한 표를 말한다.
악보를 보고 연주를 하거나, 악보를 만들거나, 곡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주 전에 박자표를 확인해야 한다.
박자표는 작곡가가 원하는 음악적 시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박자표 구조와 의미
박자표는 분수모양으로 생겨 위아래에 각 숫자가 표시되는데 각 위치에 숫자가 서로 의미하는 것이 다르다.
분수 아래에 표시된 숫자는 전체 음악에서 기준이 되는 음표를 의미한다.
숫자 4는 4분 음표, 8은 8분 음표, 2는 2분 음표를 의미하는 것이다.
분수 위에 표시된 숫자는 한 마디 안에 기준이 되는 음표가 몇 개 있는지 알려준다. 즉 앞서 설명했던 일정수를 알려주는 것이다.
4가 표시되어 있다면 한 마디 안에 기준음표가 4개 있다는 의미이며 2, 3, 5, 6, 7, 9, 12, 2+3 등등 음악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아래에 4, 위에 3이 표시되어 있는 박자표는 4분 음표가 4분 음표가 전체 음악에 기준이 되며 한마디 안에 4분 음표가 3개씩 있다는 뜻이다.
아래에 8, 위에 6이 표시되어 있는 박자표는 8분 음표가 전체 음악에 기준이 되고 한마디 안에 있는 8분 음표 개수는 6개가 된다.
박자표 읽는 방법
박자표는 밑에서부터 위로 읽는다. 아래 첨부한 사진을 차례대로 읽어보면
4분의 4박자, 4분의 3박자, 4분의 2박자, 8분의 6박자, 8분의 9박자, 8분의 12박자, 2분의 2박자, 2분의 3박 자이다.
위 모든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박자와 강세
그러면 한 가지 질문이 생길 것이다.
2/2와 4/4는 같은 거 아닌가요? 3/4와 6/8은 같은 거 아닌가요?
이를 구분하기 가장 쉬은 방법은 바로 강세이다. 모든 음악은 강과 약으로 이뤄져 있으며 흐름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크게 2박 계열(2/2, 6/8), 3박 계열(3/4, 9/8), 4박 계열(4/4)로 나뉘는데 그에 따라 강세가 달라진다.
2/2와 4/4 차이
2/2는 2박 계열 음악이고 4/4는 4박 계열 음악이다.
따라서 2/2는 강한 박자(이하 강박)가 2박자마다 오지만 4/4는 4박자마다 돌아온다.
즉 2/2는 '원투 원투'로 카운팅 하지만 4/4는 '원투쓰리포 원투쓰리포'로 카운팅을 한다.
3/4와 6/8 차이
3/4박자는 3박 계열로 '강약약 강약약'으로 흘러가지만 6/8박자는 2박 계열로 '강약약 중강약약 강약약 중강약약'으로 흘러간다.
즉 3/4를 카운팅 할 때는 '원투쓰리 원투쓰리' 하지만 6/8박자를 카운팅 할 때는 '원ㅌㅌ투ㅌㅌ 원ㅌㅌ투ㅌㅌ'라고 한다.
음악을 더 깊게 이해하고 즐기기 위해서는 기초 음악이론은 필수이다.
특히 리듬과 깊은 연관이 있는 박자와 박자표는 잘 익혀서 악보를 읽을 때나 음악을 들을 때 박자를 세보면 큰 도움이 된다.
'음악 > 음악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조음악과 12음 기법: 현대 음악의 혁신 (0) | 2025.04.03 |
---|---|
minor Diatonic Chord (0) | 2025.01.27 |
Major Diatonic Chord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