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음악이론

5도권(4도권)

by Jooooa 2024. 11. 26.

4도권 또는 5도권이라고 불리는 순환도는 기준음부터 시작하여 완전 4도 또는 완전 5도로 상, 하행 진행을 연속하여 만들어진 원형이다.

C를 기준으로 완전 5도로 하행을 연속시켜 보면 

C, F, Bb, Eb, Ab, Db, F#(Gb), B, E, A, D, G가 되는데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이는 완전 4도로 상행을 연속시킨 순서와 같다.

5도권을 이해하면 다양한 음악이론을 알 수 있다.

 

음악으로 돈벌기

음악, 재즈, 화성학, 음악 이론, 피아노, 음악 추천

jazzwithmoon.kr

 

5도권 사이클

조표

5도권을 C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돌면 b이 하나씩 늘어나는 조표이고 왼쪽으로 돌면 #이 하나씩 늘어나는 조표임을 알 수 있다.

각 조표와 나란한 조인 단조 또한 마찬가지이다.

정리해보면 C를 기준으로 오른쪽 b키인 경우

F key에 플랫 1개(Bb), Bb key에 플랫 2개(Bb, Eb), Eb key에 플랫 3개(Bb, Eb, Ab), Ab key에 플랫 4개(Bb, Eb, Ab, Db), Db key에 플랫 5개(Bb, Eb, Ab, Db, Gb), Gb key에 플랫 6개(Bb, Eb, Ab, Db, Gb, Cb)가 된다.

반대로 왼쪽 #키인 경우

G key에 샤프 1개(F#), D key에 샤프 2개(F#, C#), A key에 샤프 3개(F#, C#, G#), E key에 샤프 4개(F#, C#, G#, D#) B key에 샤프 5개(F#, C#, G#, D#, A#), F# key에 샤프 6개(F#, C#, G#, D#, A#, E#)가 된다.

 

관계조

어떤 조와 관계가 밀접한 다른 조를 관계조(또는 근친조)라고 말한다. 기준이 되는 조를 으뜸음조라고 한다.

으뜸음조를 C key로 생각해보면 관계조는 딸림음조인 G key와 버금딸림음조인 F key가 된다.

 

주요 3화음

앞선 관계조와 같은 맥락으로 생각하면 쉽다. 특정 코드를 중심으로 양옆에 있는 두 코드가 딸림화음과 버금딸림화음이 된다.

C화음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양쪽으로 G-C-F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딸림화음(G)- 으뜸화음(C) - 버금딸림화음(F)이 된다.

 

Root의 강진행 : Ⅱ-Ⅴ-Ⅰ

재즈에서 강진행이라고 말하는 Root Motion인 코드진행이 순차 배열되어 있다.

이는 코드진행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진행으로 흔히 투파이브모션(Ⅱ-Ⅴ-Ⅰ)을 말한다.

C를 1도 화음으로 생각했을 때 왼쪽 두 화음을 확인해보면 D-G-C가 된다.

도수로 표현하면 D(2도) - G(5도) - C(1도)가 되면서 투파이브모션이 생기는 것이다.

 

Dominant Motion

각 음을 도미넌트 7th(Ⅴ7)으로 생각해 보자.

C7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G7이 도미넌트 모션(Ⅴ7 of Ⅴ7)이 된다.

또한 서로 마주 보고 있는 7th끼리는 가이드톤을 공유하는 관계로 서로를 대신해 사용이 가능한 대리코드가 된다.

C7을 기준으로 마주 보고 있는 F#7이 서로 대리코드 관계가 된다.

 

음계(Scale)

5도권을 가지고 음계도 만들어지는데 첫 번째로 5 음계를 말하는 펜타토닉이 만들어진다.

펜타토닉은 C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5음을 말한다. 즉 C, G, D, A, E 가 된다.

펜타토닉 스케일은 반음이 없어 불협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재즈에 가장 중요한 스케일이므로 다시 한번 다루도록 하겠다.

오선상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두 번째는 6 음계이다. 마찬가지로 기준음부터 왼쪽으로 6음을 말한다.

C를 기준으로 찾아보면 C, G, D, A, E, B가 된다.

오선상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코드진행

5도권만을 가지고 다양한 코드진행을 만들 수 있다.

1. 5도권을 6등분을 하게 되면 장 2도씩 하행하는 진행이 만들어진다. 

C를 기준으로 정리해보면 C-Bb-Ab-F#-E-D-C이다.

2. 5도권을 4등분 하게 되면 단 3도씩 상행하는 진행이 만들어진다.

C를 기준으로 정리하면 C-Eb-F#-A가 된다.

3. 5도권을 3 등분하면 단 6도씩 상행하는 진행이 된다.

C부터 정리하면 C-Ab-E-C이다.

4. 5도권을 2 등분하면 증 4도로 상, 하행하는 진행이다.

앞서 말했던 마주 보는 두 코드를 말한다. (C-F#)

5. 완전 4도로 움직이는 도미넌트모션을 강진행이라고 했다면 또 다른 강진행인 반음하행진행을 만들 수 있다.

C부터 정리하면 C-B-Bb-A-Ab-G-F#-F-E-Eb-D-C#-C가 된다.

반응형

'음악 > 음악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케일(음계) : Major, Natural, Harmonic, Melodic minor  (0) 2025.01.17
박자와 박자표  (0) 2024.12.08
음정 정리  (2) 2024.11.07
완전음정  (2) 2024.11.06
오선과 계이름  (3) 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