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글
-
펑크(Punk)와 훵크(Funk)
Funk와 Punk는 음악 장르 중 가장 이름이 비슷한 두 장르이다. 단어 하나 차이지만 이 둘은 전혀 다른 리듬, 사운드, 철학, 그리고 연주 스타일을 가진다. 각각의 장르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했고, 연주자들 역시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으로 음악에 임한다. 이번 글에서 Funk와 Punk의 장르적 차이는 물론, 각 악기 연주자들이 어떤 리듬 감각과 마인드로 음악을 만드는지 깊이 있게 살펴보자. 장르적 기원과 정신Funk : 리듬과 몸의 해방Funk는 1960년대 후반 미국 흑인 사회에서 등장한 장르다. James Brown, Sly & the Family Stone, Parliament-Funkadelic 같은 아티스트들이 주도했으며, 소울과 재즈, 리듬 앤 블루스(R&B)의 유..
2025.06.18
-
라인 클리셰(Line Cliché)
음악에서 "라인 클리셰(Line Cliché)"는 단순하지만 매우 효과적인 작곡 및 편곡 기법이다. 반주를 할 때도 적절하게 사용하면 간한하지만 효과적인 사운드를 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코드 위에서 내부 음 중 하나를 반음 또는 온음 단위로 움직이는 선율적 진행을 의미한다. 즉 코드는 그대로지만 음 하나를 움직여 분위기를 바꾸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클래식, 재즈, 팝, 록, 영화 음악 등 거의 모든 장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라인 클리셰는 작, 편곡에 있어서도 가장 간단하면서 감성적인 도구이다. 한 음의 반음 진행을 통해 곡 전체의 분위기가 전환되며 특히 피아노나 기타 같은 화성악기 사용자가 사용하면 훨씬 효과적이다.초보자에게는 코드 진행을 더 풍부하게 만드는 수단이 되고 숙련자에게는 감정 ..
2025.06.17
-
펑크 리듬 (Punk Rhythm)
펑크(Punk)는 단지 장르가 아니다. 화려한 테크닉과 복잡한 구조를 거부하고 직선적인 에너지와 간결한 리듬으로 승부하는 음악으로 태도이자 정신을 의미한다.펑크 리듬은 격렬하지만 단순하고 거칠지만 솔직하다. 1970년대 후반 영국과 미국에서 사회적 불만을 배경으로 성장한 펑크록은 간단한 리듬 패턴 덕분에 누구나 연주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음악으로 자리 잡았다. 펑크 리듬의 구조적 특징1) 빠른 템포 & 4/4박자대부분의 펑크 음악은 빠른 템포의 4/4박자를 기본으로 한다. 평균 BPM은 160~200까지도 올라가며, 어떤 곡은 심지어 220 BPM에 달하기도 한다.예:The Ramones - Blitzkrieg Bop (176 BPM)Dead Kennedys - Holiday in Ca..
2025.06.16
-
스케일(Scale)과 모드(Mode)
음악을 공부하다 보면 스케일(Scale)과 모드(Mode)를 공부하게 된다. 이 둘은 겉보기에는 비슷해보이지만 실제로는 음악적 기능과 사용 방법에서 중요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 글을 통해 스케일과 모드의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각각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가길 바란다.스케일(Scale)이란?음악에서 사용되는 음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구조를 말한다. 즉 음을 높낮이 순서로 배열한 계단식 음계이다. 스케일은 어떤 음들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이고 곡의 분위기나 중심 음정(tonal center)을 결정하는 중요한 재료이다.Major scale, minor scale, Blues scale, Pentatonic scale, Alterd scale 등 수많은 스케일이 존재하고 각각의 스케일은 고유한 분위기와..
2025.06.14
-
셔플 리듬 (Shuffle Rhythm)
셔플은 음악에서 독특한 흔들림과 밀고당기는 느낌을 주는 점8분음표 기반의 리듬 스타일이다. 일반적으로 4/4박자로 연주되고 리듬을 세 등분으로 나눈 후 첫 번째와 세 번째 박자에 음을 배치하는 것이 특징이다.즉 두개의 음표가 길고 짧은 형태로 반복되며 청자에게 경쾌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스윙감을 준다. 블루스, 록앤롤, 컨트리, 재즈, R&B등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되고 사람의 걸음거리나 흔들리는 움직임을 연상시키는 리듬이다. 셔플 리듬(Shuffle Rhythm)의 음악적 구조셔플리듬은 1박자를 3개로 나누어 표현된다. 즉 4분음표가 셋잇단음표(Triplet)으로 나뉘는 것이다.이는 스윙 리듬과 헷갈릴 수 있는데 셔플리듬은 고정된 셋잇단음표 구조로 세개로 나뉜 음표 중 첫박과 세번째박에서 연주하는 구조인 반..
2025.06.12
-
스윙 리듬(Swing)
재즈 음악의 가장 매력적인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스윙 리듬이다. 스윙 리듬은 단순한 박자 조정이 아니라, 음악의 "흐름"과 "기분"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처음 재즈를 시작할 때 스윙 리듬의 매력을 이해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스윙 리듬이 기계적인 박자보다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재즈 스윙 리듬을 초급자부터 전문가까지 마스터할 수 있는 실용적인 팁과 연습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스윙 리듬의 정의: 단순한 박자가 아니다스윙 리듬은 단순히 셋잇단음표를 사용한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사실, 스윙은 음악 안에서 시간을 밀고 당기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드는 리듬 패턴이다. 이는 "시간을 느끼는 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잇단음표..
2025.04.28
-
2025 청년 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
2025년, 대한민국 청년 예술인을 위한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함께하는 ‘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 사업이 신설되었는데, 간단히 말해 매월 5만 원 또는 10만 원씩 적금하면, 그만큼 정부가 똑같이 지원해 주는 제도이다.예술가로서 경제적 불안정에 시달리는 청년들에게는 정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으로, 예술하는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희소식이니 꼭! 끝까지 읽어보길 바란다. ‘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란?‘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는 청년 예술인이 2년간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동일한 금액을 정부에서 적립해 주는 매칭 적금 제도다. 이렇게 모인 금액은 예술인의 미래 활동 자금이나 자립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2025.04.17
-
3화음의 텐션
3화음(Triad)은 한 옥타브 안에서 3개의 음으로 구성된 화음을 말합니다. 이 세 음은 각각 기본음(Root), 3도 음(Third), 5도 음(Fifth)으로 구성되며, 서로 특정한 음정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다양한 화성 구조의 출발점이 되는 음형이다.때문에 대부분의 코드 진행, 심지어는 복잡한 재즈 코드나 현대 음악의 대위법적 구성도 3화음을 기반으로 발전한다. 더 자세한 3화음에 대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3화음(Traid) 3화음(Traid)앞선 글에서 설명했던 5 음계에서 근음부터 3도씩 위로 쌓아 올리면 3화음(영어로는 Triad라고 한다)이 된다.대부분 화음은 Major 3화음과 minor 3화음을 기준으로 음들이 조금씩 변화하여 다양한 화jazzwithm..
2025.04.07
-
예술로 지원사업 2025: 예술인을 위한 지원 안내
예술로 지원사업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주관하는 예술인 파견지원 프로그램으로, 예술인과 기업·기관 간의 협업을 통해 예술인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예술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인은 창의성과 역량을 발휘하여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참여할 수 있는 예술인이라면 참여하는 것을 추천한다. 2025년 예술로 지원사업 모집 기간2025년 예술로 지원사업의 모집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예술로 기획사업 참여 팀 모집: 2025년 2월 12일 ~ 3월 17일예술로 협업사업 리더 예술인 모집: 2025년 3월 21일 ~ 4월 1일예술로 협업사업 참여 예술인 모집: 2025년 3월 21일 ~ 4월 10일 예술로 지원사업 진행 방식예술..
2025.04.04
-
무조음악과 12음 기법: 현대 음악의 혁신
무조음악(Atonality)과 12음 기법(Twelve-tone technique)은 20세기 초반, 전통적인 조성 음악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작곡 기법이다. 다양한 작곡 기법이 새롭게 생겼지만 그중 무조음악(Atonality)과 12음 기법(Twelve-tone technique)은 대표적인 혁신적인 기법들이다.1. 무조음악(Atonality)무조음악(Atonality)은 특정한 조성(Key) 없이 구성된 음악을 의미하며, 전통적인 장음계나 단음계 체계를 벗어나 모든 음이 동등한 역할을 가진다. 20세기 초반, 작곡가들은 기존의 조성 음악이 제공하는 예측 가능성을 넘어서기 위해 무조음악을 탐구하기 시작했다.무조음악의 특징조성의 부재: 특정한 중심음(Tonic)이나 화성 진행이 존재하지 ..
2025.04.03
-
재즈의 역사: 기원부터 현대까지의 변화와 발전
재즈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변화해왔으며, 현재도 다양한 스타일과 융합되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블루스와 래그타임에서 시작해 스윙, 비밥, 퓨전, 현대 재즈에 이르기까지, 재즈는 시대와 함께 변화하면서도 그 즉흥성과 독창성을 유지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재즈는 새로운 장르와 결합하며 진화해 나갈 것입니다. 오늘은 시대별로 재즈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훑어보겠습니다. 1. 재즈의 기원: 블루스와 래그타임의 영향재즈(Jazz)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미국 남부에서 탄생한 음악 장르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전통 음악과 유럽 클래식 음악이 결합하여 형성되었습니다.(1) 블루스(Blues)블루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노예 생활을 하며 부르던 노동요(Work Songs)와 영가(Spirit..
2025.03.26
-
워킹 베이스(Walking Bass): 재즈와 블루스의 핵심 리듬 패턴
워킹 베이스(Walking Bass)는 주로 재즈와 블루스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라인의 한 형태로, 곡의 박자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리듬감 있는 진행을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4/4 박자의 곡에서 매 박마다 한 개의 음을 연주하며, 부드러운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워킹 베이스는 하모니를 보완하고 곡의 진행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워킹 베이스는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코드 진행과 멜로디를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연주가 요구된다. 특히, 재즈 베이시스트들은 이 기법을 활용하여 화성적 변화를 강조하고, 솔로 연주자와의 인터플레이를 강화한다.대체적으로 밴드로 연주할 때는 콘트라 베이스가 워킹 베이스를 연주하지만 피아노 파트에서 연주하기도 한다. 워킹 베이스의 기본 원칙 - 매 박마다 한 ..
2025.03.20
-
즉흥연주 (Improvisation)
즉흥연주 (Improvisation)는 연주자가 사전에 정해진 악보 없이 순간의 영감과 음악적 직관을 바탕으로 연주하는 기법이다. 이는 클래식, 재즈, 블루스, 록, 전자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음악적 표현력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기술이다.즉흥연주는 연주자의 음악적 사고와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며, 독창적인 음악을 창작하는 과정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역사적으로 즉흥 연주는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과 같은 고전 작곡가들부터 현대의 재즈 뮤지션들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즉흥연주의 주요 요소1. 리듬(Rhythm)즉흥 연주에서 리듬은 음악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다양한 박자와 리듬 패턴을 연습하면 더욱 창의적인 즉흥 연주가 가능하다.특히 두 가지 리듬을 많이 사용하..
2025.03.10
-
대위법 : Counterpoint
대위법(Counterpoint)은 독립적인 두 개 이상의 선율이 동시에 연주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음악적 기법을 말한다. 이는 16세기 르네상스 음악과 18세기 바흐의 푸가(Fugue)에서 발전했다. 현대 음악에서도 중요한 작곡 기법으로 사용된다. 대위법은 각 성부가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음악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대위법의 주요 원칙1. 독립적인 선율 구성각 성부는 독립적으로 움직이면서 하나의 성부가 다른 성부와 지나치게 유사하면 안 된다. 서로 다른 두 멜로디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대위법이기 때문이다.2. 병행 5도와 8도 금지고전적인 대위법에서는 성부 간 병행 5도와 8도를 피하는 것이 원칙이다.예를 들면 윗 성부 멜로디가 도, 레, 미 일 때 아래 성부의 멜로디가 파, 솔,..
2025.03.08
-
작곡 : 팝, 재즈, 블루스 멜로디 작곡법
멜로디는 곡의 핵심을 이루는 선율이다. 음악에서 가장 먼저 인식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시간예술인 음악에서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며 음이 이어지는 것을 멜로디라고 생각하면 된다.좋은 멜로디는 쉽게 기억되고 따라 부르기 쉽다. 멜로디에 따라 감정적인 전달 뉘앙스 또한 달라진다.때문에 멜로디는 모든 음악 장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 곡의 개성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이다.장르에 따라 멜로디를 구성하는 방식이 달리진다. 특히 팝(Pop), 재즈(Jazz), 블루스(Blues) 세 가지 장르에서 멜로디 작곡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자.1. 팝(Pop)Pop의 특징팝은 기억하기 쉬운 멜로디를 가장 선호한다. 때문에 반복적인 구조와 훅(Hook)을 중심으로 곡이 전개된다. 대부분 명확하게 나타..
2025.02.27
-
작곡 기초이론 : 멜로디, 화성진행, 리듬, 구조, 대위법
작곡은 단순한 음의 나열이 아니라 감정을 전달하고 청중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는 예술적 과정이다.음악을 창작할 때 중요한 핵심 요소는 멜로디, 화성진행, 리듬, 구조, 대위법이다.이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조화롭고 감각적인 곡을 만들 수 있다. 멜로디 (Melody) : 곡의 핵심을 이루는 선율1. 멜로디란?멜로디는 음악에서 가장 직관 적으로 인식되는 요소이다. 음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며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좋은 멜로디는 쉽게 기억되며 감정적인 연결을 만들어낸다.2. 멜로디를 만드는 주요 요소- 모티브(Motive)짧은 음의 패턴으로 곡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말한다.- 멜로딕 컨투어(Melodic Contour)음의 오르내림 패턴을 뜻한다. 곡의 분위기를 결정..
2025.02.26
-
음악 추천1 : Swing
재즈피아니스트라면 필수로 공부하는 장르가 바로 스윙이다.스윙은 장르 자체를 말하기도 하고 리듬을 말하기도 한다. 오늘 추천하는 곡들은 스윙리듬을 가진 곡들이다.Count Basie Orchestra - "One O'Clock Jump"1937년 발표된 곡이다. 스윙 시대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 손꼽힌다. Count Basie가 연주하는 피아노와 빅밴드의 조화를 집중해서 들어보면 더 좋다.중요성스윙 시대를 상징하는 곡으로 Count Basie Orchestra를 대표하는 테마곡이다. 빅밴드와 피아노 간의 완벽한 조화를 보여주는 곡으로 스윙 리듬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곡이다.관련 일화이 곡은 원래 제목이 없이 즉흥연주로 시작된 곡이다. 라디오 방송 중에 이 곡을 연주했을 때, 사회자가 곡의 제목이..
2025.02.10
-
Mode (교회선법) : Parallel Key 정리
앞서 선법을 한차례 다뤘을 때는 나란한조를 기준으로 으뜸음이 서로 다르지만 구성음은 똑같이 사용하는 관계에 있는 나란한 조(Relative Key) 관계를 통해 모드로 정리해 봤다.오늘은 같은 으뜸음을 가지지만 구성음이 서로 다른 즉 서로 다른 모드인 같은 으뜸음 조(Parallel Key)를 기준으로 모드를 정리해 보도록 하자.쉽게 온음과 반음을 이용해서 각 모드가 가지고 있는 구조에 맞춰 음을 나열하여 찾는 방법이다.즉 C부터 시작하는 7개의 모드, F부터 시작하는 7개의 모드 등 각 음부터 시작하는 7개 모드를 온음과 반음을 활용하여 찾는 것이다.모드를 찾을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각 모드별로 반음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구성음을 넘버링했을 때 몇 번과 몇 번이 반음인지 확인하고 그 구조를..
2025.02.09
-
Mode (교회선법) : Relative Key 정리
선법은 서양음악이 생겨난 뿌리인 Major scale과 minor scale이 생겨난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옥타브 안에 음을 각 구조에 맞게 차례로 배열한 음계 즉 음과 음 사이 구조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는 것이다.즉 같은 7음으로 이뤄진 음계라도 온음과 반음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선법이 되는 것이다.한국 선법에는 평조, 계면조 등이 있듯이 각 나라에서 사용하는 선법은 서로 다르다.특히 오늘 우리가 알아볼 선법은 교회선법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하던 중세시대 교회음악 단선율이다.교회선법은 7가지 종류가 있는데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음렬 구조에서 파생된 것이다.즉 온음과 반음의 배열과 구조는 바뀌지 않지만 시작하는 음이 바뀌어 그 순서가 바뀌는 것이다.C Major scale을 구성하는..
2025.02.08
-
minor II-V-I 구조, 텐션, 보이싱, A form, B form
앞서 메이저 투파이브원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투파이브원 진행은 재즈음악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코드 진행으로 메이저뿐만 아니라 마이너 또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재즈곡은 메이저보다 마이너를 더 많이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구조minor Diatonic을 구성하고 있는 7개의 코드 중 2도, 5도, 1도로 구성되어 있다. 단 주의할 점이 있다면 5도이다. 자연단음계에서 5도는 minor 성격을 가진다. 때문에 1도로 해결하려는 성질이 약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5도는 Harmonic minor(또는 Melodic minor)에서 빌려온다. 즉 5도는 minor7이 아닌 Dominant7이 된다.이러한 이유 때문에 마이너 2-5-1은 Melodic minor scale(가락단음계)에서 파생됐다고 볼수 있다..
2025.02.06
-
minor II-V-I 12 key
재즈가 대중화되면서 팝에서도 어렵지 않게 재즈 진행을 찾아볼 수 있다.특히 minor II-V-I은 메이저 진행처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꼭 12 key로 익혀두길 권장한다.아직 마이너 투파이브원의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다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 구조를 익힌 후 연습하도록 하자.메이저 II-V-I과 마찬가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2가지 폼이 있다.마찬가지로 필수로 3음과 7음이 포함되어야 하고 Dominant 7 에서는 텐션이 2개 이상 포함된다.minor7(b5)는 코드톤만으로 소리가 독특하다. 때문에 코드톤만 가지고 보이싱하는것이 기본 폼이다.
2025.02.05
-
Backdoor Progression : 백도어 프로그래션
음악에서 색다른 코드 진행을 만들고 싶다면 백도어 프로그래션을 사용해 보길 바란다.이 기법은 기존의 코드진행을 변형하여 예상치 못한 부드러움과 감성을 더하는 방법이다. 특히 재즈, 블루스, 팝에서 자주 사용된다. Backdoor Progression이란?Frontdoor Progression과 반대말로 뒷문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Frontdoor Progression은 일반적인 코드진행으로 SD-D-T순서로 진행이 된다. 이 진행을 변형한 것이 바로 백도어 프로그래션이다.Backdoor Progression은 일반적인 Ⅳ-Ⅰ 진행 대신해서 bⅦ-Ⅰ 진행을 사용하여 음악에 신선함을 더한다.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코드 진행인 2-5-1로 설명을 해보자면 아래와 같다.Ⅱm7 - Ⅴ7 - ⅠM..
2025.02.04
-
새학기 전자피아노 추천 : 야마하 P-125
유치원을 입학하거나 초등학교를 입학하면 본격적으로 음악 교육에 관심이 생긴다.특히 피아노는 양손을 사용함으로써 창의력을 기르고, 소근육을 발달시키고, 모든 뇌 기관을 자극하기에 가장 좋은 교육이다.때문에 빠르면 5살, 느려도 8살부터는 피아노를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 요즘은 학원 시설이 잘되어 있기도 하고 아파트에 사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피아노를 집에 들이기 꺼려하는 경우가 있다.하지만 자꾸 경험하고 연습해 봐야 빨리 늘기에 전자피아노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오늘 소개할 제품은 야마하 P-125로 수급이 부족할 정도로 인기가 좋은 보급형 제품이다.저렴하지만 전공생들 또한 가볍게 연습용으로 많이 사용하기에 가성비 갑이라고 할 수 있다.크기길이 : 132.6cm높이 : 16.6cm깊이 : 29.5cm무..
2025.02.02
-
Major II-V-I 12key
대중음악 또는 재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드 진행 중 하나인 Major II-V-I은 음악을 이해하고, 만들고, 편곡할 때 가장 중요하다. 때문에 반드시 12 key로 코드 순서와 기본 보이싱을 정확하게 익혀야 한다.투파이브원 구조를 잘 모른다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서 반드시 먼저 이해하고 연습하길 바란다.가장 기본적인 A form과 B form을 정리했다.m7과 M7에서는 9를 사용해 보이싱을 만들고 7에서는 9과 13을 사용하여 보이싱을 만든다.A form은 IIm7(3, 5, 7, 9)-V7(7, 9, 3, 13)-IM7(3, 5, 7, 9),B form은 IIm7(7, 9 ,3, 5)-V7(3, 16, 7, 9)-IM7(7, 9, 3, 5)이다.
2025.02.01
-
Major II-V-I 구조, 텐션, 보이싱, A form, B form
투파이브원 진행은 재즈음악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코드 진행이다.이 진행만을 가지고 만들어진 곡도 많이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가장 많이 활용하는 진행 중 하나이다.구조Major Diatonic을 구성하고 있는 7개의 코드 중 2도, 5도, 1도로 구성되어 있다.메이저 다이아토닉에 의해 2도는 m7, 5도는 7, 1도는 M7이 된다.즉 IIm7 - V7 - IM7이 되는 것이다.이 구조는 으뜸음이 서로 달라진다 하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다이아토닉의 구조가 12 키 모두 같기 때문이다.따라서 메이저 투파이브원은 IIm7 - V7 - IM7이다.텐션II m7II m7은 SD 즉 IV M7을 대신해서 사용하는 대리코드이다.클래식 음악에서는 IV - V - I 진행을 더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재즈에서는 완전..
2025.01.31
-
minor Diatonic Chord
Natural minor, Harmonic minor, Melodic minor 세 가지 스케일 모두 각각 구성음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다이아토닉 코드의 구조도 조금씩 다르다. 각 스케일이 가진 특징이 다르고 느낌 또한 다르다. 때문에 각 스케일에서 나오는 다이아토닉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여 알고 연주 또한 할 수 있어야 한다.Natural minor Diatonic Chord자연단음계 구조를 분석해 보면 으뜸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이다.A부터 규칙에 맞춰 나열해 보면 A, B, C, D, E, F, G가 된다.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음을 가지고 각 노트에 3도씩 3음을 쌓으면 다이아토닉 코드를 찾을 수 있다. 구조A를 기준으로 A, B, C, D, E, F, G 음을 사용하여..
2025.01.27
-
II-V-I (투 파이브 원 진행)
투 파이브 원(II-V-I) 진행은 재즈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화음 진행이다.이 진행은 가장 안정적인 진행인 SD-D-T을 유지하면서 완전 4도 상행(또는 완전 5도 하행) 진행이기 때문이다.메이저 다이아토닉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2도는 Dm7, 5도는 G7, 1도는 CM7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IIm7, V7, IM7이라는 규칙이 발생한다.여기서 1도 즉 CM7을 타깃 코드라고 한다. 투파이브원은 타깃코드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이다.GM7이 타깃코드라면 II-V-I은 Am7 D7 GM7이 되는 것이다.II-V-I진행은 그 자체가 SD-D-T의 진행을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IIm7, V7, IM7로 코드 성격이 정해진다.하지만 곡 흐름과 연주자의 의도에 따라 코드 성격이 변화할 수 있다...
2025.01.26
-
Major Diatonic Chord
메이저 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음들을 활용하여 3도씩 쌓아 화음을 만들면 7개의 화음이 만들어진다.이것을 다이아토닉 코드라고 하는데 다이아토닉코드는 조성 음악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화음으로 곡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에 중요하다.Diatonic Chord 찾는 방법먼저 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음을 각 규칙에 맞춰 모두 찾아야 한다.Major scale은 으뜸음부터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 순서대로 음을 나열하여 구성음을 찾는다.C를 기준으로 C, D, E, F, G, A, B, C가 되는 것이다. 다른 음이 으뜸음인 경우 또한 규칙에 맞춰 찾으면 된다.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음을 모두 찾으면 구성음만을 활용해서 화음을 만들어주면 된다.화음은 3도씩 쌓아 올려 만들면 되는데 이렇게 만들..
2025.01.25
-
아르페지오 응용2
템포에 상관없이 반주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법은 아르페지오이다.아르페지오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연주자에 따라 새로운 패턴을 만들 수 있는 등 활용도가 매우 높다.단순히 아르페지오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리듬과 자리바꿈 등 다양한 테크닉을 섞어 함께 사용한다.펜타토닉 스케일 활용펜타토닉 스케일은 불협음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때문에 재즈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하는 스케일이다.먼저 메이저 화음에서는 메이저 펜타토닉을, 마이너 화음에서는 마이너 펜타토닉을 사용하면 된다.C, CM7, C7 등 메이저 계열 화음에서는 C 메이저 펜타토닉 스케일인 C, D, E, G, A를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Cm, CmM7, Cm7 등 마이너 계열 화음에서는 C 마이너 펜타토닉 스케일인 ..
2025.01.24
-
Jazz minor scale (재즈마이너스케일) 구조, 12key
자연단음계에서 상행할 때는 이끔음을 만들어주기 위해, 임의로 만든 이끔음 때문에 생긴 증2도를 없애기 위해 화성단음계를 사용한다.하지만 하행 할때는 이끔음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자연단음계를 사용한다. 이 단음계가 바로 가락단음계이다.하지만 재즈에서는 상행과 하행을 서로 다르게 만들지 않고 똑같이 사용한다.구조화성적인 이유와 멜로디적인 이유로 상행과 하행이 서로 다른 Melodic minor scale과는 다르게 Jazz minor scale은 상행을 그대로 사용한다.즉 하행 시 6음과 7음이 제자리 되지 않고 샤프된 상태 그대로를 사용한다는 뜻이다.C를 기준으로 상행하는 가락단음계를 계산해보면 C, D, Eb, F, G, A, B, C가 된다. 가락단음계였다면 하행 시 C, Bb, Ab..
2025.01.23
-
Tension (텐션)
재즈를 연주할 때 가장 핵심적으로 소리를 결정짓는 요소가 바로 텐션이다.텐션 없이 코드톤만으로 연주하면 초보적이고 정직한 소리를 낼 수 있는 반면 긴장감이나 곡의 흐름을 살리기는 어렵다.특히 악기를 다루는 재즈 아티스트라면 본인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보이싱이 생긴다.이 때 보이싱을 세련되게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이기도 하다.텐션이란?1옥타브 안에서 차례로 음을 나열한 것을 스케일이라고 하는데, 화음은 1옥타브 안에서 해결된다. 1옥타브를 넘어 9, 10, 11, 12, 13, 14, 15로 넘어갔을 때 이 음들을 바로 익스텐션이라고 부른다.더 쉽게 설명해 보면 1옥타브 내에서 3도씩 쌓아 7th chord를 만든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3도씩 계속 쌓아 코드를 확장시키면 그 음들이 Extension이 된..
2025.01.22
-
Melodic minor scale(가락단음계) 구조, 12 키 연습
자연단음계에 없는 이끔음 만들어주고자 화성단음계가 생겼다.7번째 음을 임의로 올려주면서 이끔음이 생겼지만 6음과 7음이 증 2도가 되면서 멜로디적으로 부드럽지 못하고 연주하기 까다로워졌다.증 2도를 없애 수월한 연주를 하기 위해 6번째 음도 반음 올려주면서 만들어진 마이너스케일이 가락단음계이다.구조가락단음계는 화성적으로 만들어진 음계가 아니기 때문에 상행과 하행이 다르다.상행할 때는 멜로디적인 이유로 만들어진 음계를 사용하고 하행할 때는 화성적인 이유로 만들어진 음계를 사용한다.상행은 내추럴마이너와 비교했을 때 6음과 7음이 반음 올라간 구조이며, 하행은 내추럴마이너 구조와 같다.A키로 예를 들어보면 상행은 A B C D E F# G# A가 되며 하행은 A G F E D C B A가 되는 것이다.그 구조..
2025.01.21
-
Harmonic minor scale (화성단음계) 구조, 12 key
자연단음계는 구조적으로 7음과 8음이 온음이기 때문에 이끔음이 없다. 때문에 도미넌트 모션이 불가능하며 곡이 끝날 때 해결감을 주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의로 이끔음을 만들어준 마이너 스케일이 바로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이다.구조화성단음계는 기본적으로 자연단음계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성적인 이유로 만들어진 스케일이다.때문에 자연단음계의 단점인 이끔음이 없다는 것 이외에는 모두 같은 구조를 갖는다.즉 자연단음계에서 7번째 음을 반음 올려주기만 하면 화성단음계가 된다.정리해 보면 으뜸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반음증 2도 반음이 되는 것이다.규칙에 맞게 A harmonic minor scale을 찾아보면 A B C D E F G# A가 된다.화성단음계 12 키 ..
2025.01.20
-
Natural minor scale (자연단음계) 구조, 12key 연습
메이저스케일과 마이너스케일은 조성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기둥이다.마이너스케일에는 화성적인 이유로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중 메이저 스케일이 가지는 구성음과 같은 구성음을 가지는 마이너 스케일이 있다. 바로 자연단음계이다.으뜸음이 같지는 않지만 메이저 스케일을 구성하는 음 중 6번째 음부터 다시 배열을 하면 자연단음계가 된다.즉 C Major scale의 6번째 음인 A부터 다시 배열을 하면 A Natural minor scale이 되는 것이다.구조자연단음계는 으뜸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A부터 구조에 맞게 음을 나열하면 A B C D E F G A 가 된다.마찬가지로 C 자연단음계를 찾아보면 C D Eb F G Ab Bb C가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다. ..
2025.01.19
-
Major scale(장음계) 구조, 12key 연습
조성음악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스케일은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연주 또한 가능해야 한다.그래야 곡을 구성하고 있는 멜로디와 화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구조기준음 즉 으뜸음부터 시작해서 음을 차례로 위로 쌓아 올린다.음과 음의 간격은 온음 또는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순서가 스케일마다 다르니 꼭 익혀두도록 하자.메이저 스케일의 구조는 으뜸음부터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다.C부터 계산해 보면 C D E F G A B C가 되는 것이다.같은 구조로 A부터 계산해 보면 A B C# D E F# G# A가 된다.구조가 같으면 같은 스케일로 구분하며 스케일이 가지는 뉘앙스와 느낌이 같다. 메이저 스케일 12 키모든 스케일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12개의 음에..
2025.01.18
-
스케일(음계) : Major, Natural, Harmonic, Melodic minor
스케일이란 음악을 만들 때 기반이 되는 것으로 어떤 스케일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멜로디, 하모니가 결정된다.음을 차례대로 배열은 한 것으로 배열된 규칙에 따라 옥타브마다 반복된다.시대와 민족, 작곡가에 따라 다양한 음계가 있지만 현대에 들어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계는 장음계와 단음계이다.스케일은 옥타브 이내에서 음들을 높이 순서대로 차례로 나열한 음렬을 말한다. 때문에 차례로 높아지고, 차례로 낮아져야 하며 높아짐과 낮아짐이 번갈아 나올 수 없다. 일반적으로 모든 음악이 스케일을 기반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스케일에 따라 조성이 정해진다.각 스케일 이름마다 정해진 구조가 있으며 구조가 같으면 같은 스케일로 분류한다.다만 으뜸음 즉 기준이 된 음이 어떤 음인지에 따라 조표가 달라진다.Major Scale (..
2025.01.17
-
피아노 종류
피아노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크게 어쿠스틱 피아노와 일렉트릭 피아노로 나뉘는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알맞은 제품이 다르다.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피아노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자.어쿠스틱 피아노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제품을 말한다.깔끔한 피아노의 원음을 가지고 있으며 해머의 타격감을 느낄 수 있다.관리에 따라 수명이 아주 길고 중고 감가 하락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하지만 볼륨 조절이 어렵고 가격이 높으며 휴대성이 부족하다. 또한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비용이 발생한다.그랜드 피아노소리를 내는 현이 수평으로 만들어진 피아노 원형이다. 소리가 풍부하고 울림이 아주 좋다.하지만 가격이 높고 부피가 커서 연주홀, 대형홀, 교회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유명한 피아니스트들은 큰 소리와 큰 부피..
2025.01.16
-
Blues Scale 12key
블루스 스케일은 즉흥연주를 하기 위해 가장 필수적으로 익혀야 하는 것이다.가장 많이 사용되는 Major blues scale과 minor blues scale을 12키로 정리했다.Major blues scale근음 즉 Root부터 시작하여 만들어진 메이저 펜타토닉 스케일에 블루노트인 b3음을 더해주면 된다.C키로 예를 들면 메이저 펜타토닉 스케일 구성음 C, D, E, G, A에 b3음인 Eb을 더해준다.정리하면 C메이저 블루스 스케일은 C, D, Eb, E, G, A가 된다.minor blues scaleRoot부터 시작하여 마이너 펜타토닉 스케일에 블루노트 b5음을 더해 만들어 졌다.C로 예를 들어보자C 마이너 펜타토닉 스케일의 구성음인 C, Eb, F, G, Bb에 블루노트인 b5음 즉 Gb을 더해..
2025.01.15
-
Blues Scale
블루스 스케일은 재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즉흥연주를 할 때 연주자들이 다양한 표현을 하기 위해 사용됐다.특히 12마디로 구성된 블루스 진행에 맞춰 연주할 때 가장 재지 한 사운드를 낼 수 있는 것이 바로 블루스 스케일이다.블루 노트(Blue Note)먼저 블루스 스케일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인 블루 노트를 알아보자.블루노트란 흑인이 가진 전통적인 음악에서 찾을 수 있는 음이다.우리가 평소에 쉽게 접하는 메이저 스케일과 비교했을 때, 스케일 상에서 3음, 5음, 7음을 반음씩 낮춰 연주한다.우리는 이 세 음을 블루 노트라고 말한다. 헥사토닉 블루스 스케일헥사토닉은 식스노트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펜타토닉 스케일에 블루노트를 추가해 만들어진 스케일이기 때문이다.메이저 펜타토닉 스케일에 블루노트인 b3음을 추..
2025.01.14
-
스타인웨이 업라이트 피아노
업라이트 피아노란 가정이나 학교에서 사용하기 쉽게 만든 보급형 피아노이다.그랜드 피아노에 비해 소리는 약하지만 부피가 작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해 많이 사용한다.스타 인 웨이 업라이트 피아노는 현재 두 가지 종류가 있다.K - 132가격 : 8천6백9십만 원, 높이 : 132cm, 너비 : 152.5cm, 깊이 : 68cm, 무게 : 295 Kg사운드가 다채롭고 음색이 풍부한 점을 내밀고 있는 제품이다.타사 일반 그랜드 피아노의 향판 사이즈보타 훨씬 큰 향판을 사용하여 풍부한 소리가 특히 장점인 제품이다.V - 125가격 : 6천5백만 원, 높이 : 125cm, 너비 : 152.5cm, 깊이 : 67.5cm, 무게 : 267kg음색이 독특하고 충분한 터치를 갖춘 제품이다. 가장 작은 사이즈로 공간 효율성을..
2024.12.10
-
아르페지오 응용1
반주법은 크게 멜로디 반주, 코드 반주로 나뉜다.특히 대중음악에서 사용하는 반주는 코드 반주로 아르페지오와 다양한 리듬을 섞어 연주한다.그렇다면 아르페지오를 어떻게 활용해야 듣기 좋은 반주를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자.아르페지오가 뭔지 정확하게 정리가 안 됐다면 아래 글을 읽고 오길 추천한다.[돈버는 반주법] 아르페지오(펼침화음) [돈버는 반주법] 아르페지오(펼침화음)아르페지오는 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을 연속적으로 차례대로 연주하는 주법을 말한다. 때문에 펼침화음이라고도 한다. 원래 아르페지오는 하프에서 사용하는 주법이었지만 지금은 피아노를 비jazzwithmoon.tistory.com 기본 리듬 활용가장 기초적인 8 beat리듬꼴에 아르페지오를 응용하여 만든 반주이다.기본 리듬을 칠 때는 베이스 음을 연주..
2024.12.09
-
박자와 박자표
사람들은 신나고 빠른 음악이든 느린 음악이든 어떤 음악을 듣든지 몸을 움직이거나 노래를 흥얼거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음악을 즐긴다.특히 R&B 나 힙합을 들을 때면 사람들이 리듬을 탄다.때문에 우리가 음악을 더 즐기려면 박자에 대한 공부를 해야 한다.박자음악에서 사용하는 고정된 단위시간이 일정수에 따라 일정하게 이뤄진 음악적인 시간을 의미한다.4분의 2박 자일 때단위 시간은 4분 음표 1개가 연주되는 길이를 말한다.일정수는 2개 즉 음표 개수를 말한다.음악적인 시간은 4분 음표가 2개 연주되는 시간을 말한다.또한 음악이 흘러감에 따라 주기적으로 2박자마다 악센트를 가지게 된다.단위시간, 일정수, 음악적인 시간을 통틀어 박의 배열이라고 표현하는데, 박의 배열은 박자표에 의해 정해지며 악보상에서 세로줄로 ..
2024.12.08
-
이펙터(Effecter)
이펙터는 소리를 다양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통틀어 칭하는 용어이다.대중적인 이펙터는 에코, 코러스, 리버브 등이 있다.사전적 의미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로 이뤄진 소리에 효과를 적용할 때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펙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1. 하드웨어 이펙터 : 아웃보드 형태2. 소프트웨어 이펙터 : 플러그인 형태로 구분한다.또 다른 구분법으로 디지털 이펙터와 아날로그 이펙터가 있다. 각각 개성과 특징이 달라서 디지털시대인 지금도 많이 사용된다.이펙터는 효과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계열로 세분화된다. 드라이브 계열음원을 일그러뜨려 왜곡된 소리를 낸다. 일렉기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펙터이다.디스토션(Distortion)오버드라이브보다 강하고 퍼즈보다 덜한 왜곡을 주는 이펙터이다.주로..
2024.12.07
-
펜타토닉 스케일(Pentatonic Scale)
재즈 즉흥연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펜타토닉 스케일은 5 음계를 말한다.크게 메이저 펜타토닉(Major Pentatonic)과 마이너 펜타토닉(minor Pentatonic)이 있다.두 종류 펜타토닉 모두 재즈 음악에서 많이 사용되는 스케일이므로 꼭 12 key로 익혀둬야 한다.Major Pentatonic Scale (메이저 펜타토닉)메이저 계열 화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케일이다. 특히 M7, M6에서 많이 사용한다.음계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minor Pentatonic Scale (마이너 펜타토닉)마이너 펜타토닉은 재즈 근본인 블루노트가 들어간 스케일 블루스 스케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때문에 Jazzy 한 연주를 하고 싶다면 반드시 마이너 펜타토닉을 12 key로 익혀야 한다.한 가지 팁..
2024.12.06
-
Pentatonic
재즈음악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연주자들이 번갈아가면서 즉흥연주를 한다는 점이다.재즈를 공부하면 필수적으로 공부해야 하는 영역이 즉흥연주라는 것이다.그리고 즉흥연주를 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스케일이 바로 펜타토닉 스케일(Pentatonic Scale)이다.펜타토닉 스케일은 다섯 음으로 구성된 스케일을 말한다.특히 펜타토닉에는 반음이 없어 불협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때문에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음악에서 사용하는 음계이다.펜타토닉 스케일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설명은 5도권을 참고하면 알 수 있다. 5도권(4도권) 5도권(4도권)4도권 또는 5도권이라고 불리는 순환도는 기준음부터 시작하여 완전 4도 또는 완전 5도로 상, 하행 진행을 연속하여 ..
2024.12.05
-
스타인웨이 그랜드 피아노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하고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가진 악기 중 하나는 단연 스타인웨이 그랜드 피아노이다.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대부분이 선택하는 악기로 미국과 독일에서 제조하는 최고급 악기이다.창업주인 헨리 E. 스타인웨이는 1853년 독일에서 미국 뉴욕으로 이민을 가게 된다.처음에는 미국 맨해튼에 위치한 골방에서 피아노를 제작하기 시작하였지만 지금의 세계적인 명기로 자리매김에 성공했다.표준 명칭은 Steinway & Sons으로 미국 뉴욕에 본사가, 독일 함부르크에 지사가 있다.스타인웨이 피아노는 워낙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비싼 가격 때문에 대중화에 적극적이지 못했으나경쟁력 있는 중가형 서브 브랜드인 보스턴(Boston)과 저가형 서브 브랜드인 에섹스(Essex)를 자회사로 만들어 틈새시장 공략 중이다.그..
2024.12.03
-
5도권(4도권)
4도권 또는 5도권이라고 불리는 순환도는 기준음부터 시작하여 완전 4도 또는 완전 5도로 상, 하행 진행을 연속하여 만들어진 원형이다.C를 기준으로 완전 5도로 하행을 연속시켜 보면 C, F, Bb, Eb, Ab, Db, F#(Gb), B, E, A, D, G가 되는데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이는 완전 4도로 상행을 연속시킨 순서와 같다.5도권을 이해하면 다양한 음악이론을 알 수 있다. 음악으로 돈벌기음악, 재즈, 화성학, 음악 이론, 피아노, 음악 추천jazzwithmoon.kr 조표5도권을 C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돌면 b이 하나씩 늘어나는 조표이고 왼쪽으로 돌면 #이 하나씩 늘어나는 조표임을 알 수 있다.각 조표와 나란한 조인 단조 또한 마찬가지이다.정리해보면 C를 기준으로 오른쪽 b키인 경우F..
2024.11.26
-
예술인 복지재단 : 보험편
앞선 게시물을 통해 설명했듯이 예술인 복지재단은 문학, 미술(일반 미술, 디자인 및 공예, 전통미술), 사진, 건축, 음악(일반 음악, 대중음악, 국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방송, 공연), 만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예술인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예술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공공기관이다. 예술인은 대부분 회사원처럼 근로자가 아니라 프리랜서로 일하기 때문에 대부분 근로법을 통한 혜택을 받지 못하는 현실이다.근무환경을 너 좋게 만들고 근로조건을 완화하기 위한 몇가지 사업이 있는데 그 종류와 신청방법을 알아보자.예술인 산업재해보험 (이하 산재보험) 지원산재보험은 업무 상 발생한 근로자의 부상, 질병, 장해 또는 사망 등을 대비하여 나라에서 관장하는 사회보험제도이다.국가가 ..
2024.11.25
-
Blues의 역사와 특징
재즈가 만들어진 역사와 시대 배경을 살펴보면 Blues와 흑인 이야기를 안 할 수가 없다.모든 재즈 음악에 기본 틀인 'Blues'가 19세기 말경 흑인들에 의해 탄생한 음악 형식이기 때문이다. Blues 역사미국으로 끌려간 흑인들은 미국 남부 지역, 특히 미시시피강 근처에 위치한 목화밭에서 노동력을 착취당했다.흑인들은 고된 일상을 견뎌내기 위해 노동요를 불렀는데 우리나라 노동요와 같이 주고받는 형태였다.또한 미국에서 노예생활을 하면서 유일하게 허락되었던 종교를 통해 서양음악을 접하게 된다.이 두 가지 음악 형태가 섞여 처음에는 노예가로 시작했으나 그리스도교를 통해서 서구 음악을 접하면서 종교가(흑인영가)로 발전하였고나중에는 서로를 위로하기 위한 개인이 부르는 노래로 바뀌어졌다.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백..
2024.11.24
-
아르페지오(펼침화음)
아르페지오는 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을 연속적으로 차례대로 연주하는 주법을 말한다. 때문에 펼침화음이라고도 한다.원래 아르페지오는 하프에서 사용하는 주법이었지만 지금은 피아노를 비롯해서 다양한 악기에 사용되고 있다.아르페지오는 코드를 확장시켜 빌드업을 시키기도 하며 멜로디 라인을 만드는 데에 응용되기에 꼭 익혀야 하는 주법이다.기본 아르페지오아르페지오는 연주자에 따라 선택하는 음이 다르고 패턴이 다르고 리듬이 다르다 보니 종류가 너무 다양하다.때문에 정확하게 '이렇게 연주해야 한다'라고 정의할 수는 없다. 그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패턴을 정리했다.먼저 코드의 성격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아르페지오다.위에 정리된 아르페지오는 간단하고 사용되는 음 또한 한정적이다.더 풍성한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코드..
2024.11.23
-
7th Chord
반주를 풍성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요소가 있다. 그중 가장 기본이 되며 가장 중요한 것은 화음이다.특히 전문적인 연주를 하기 원한다면 3화음이 아닌 7th Chord를 익혀 연주해야 한다.먼저 3화음의 종류와 그것을 구분하기 어렵다면 먼저 3화음을 익힌 후 7화음을 연습하길 권장한다.2022.11.25 - [돈버는 음악정보/돈버는 반주법] - [돈버는 반주법] 3. 3화음(Traid) [돈버는 반주법] 3. 3화음(Traid)앞선 글에서 설명했던 5 음계에서 근음부터 3도씩 위로 쌓아 올리면 3화음(영어로는 Triad라고 한다)이 된다. 대부분 화음은 Major 3화음과 minor 3화음을 기준으로 음들이 조금씩 변화하여 다양한 화jazzwithmoon.tistory.com7th Chord는 크..
2024.11.22
-
음정 정리
음악을 공부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 바로 음정이다.화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음정을 통해 음악의 분위기와 뉘앙스를 바꿀 수 있고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앞선 포스팅에서 장음정과 단음정, 완전음정에 대해 설명했으니 아직 정리가 완벽히 되지 않았다면 다시 한번 읽고 오길 바란다.2022.11.22 - [돈버는 음악정보/돈버는 음악이론] - [돈버는 음악이론] 3-1. 장음정과 단음정 [돈버는 음악이론] 3-1. 장음정과 단음정장음정과 단음정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반음의 유무'이다. 두 음 사이에 반음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장음정인지, 단음정인지 알 수 있다. 두 음 사이가 온음으로 맞아떨어지면jazzwithmoon.tistory.com2022.12.01 -..
2024.11.07
-
완전음정
완전 음정은 1도, 4도, 5도, 8도로 서로 잘 어울리는 두 음을 말한다.완전 음정은 장/단음정처럼 반음의 유무로 완전 음정이 맞는지 아닌지 구분하지 않는다. 완전 음정은 반음만큼 멀어지면 증 음정, 반음만큼 가까워지면 감 음정이 되기 때문에 반음의 유무로 만으로는 구분하기가 어렵다.때문에 완전음정만큼은 두 음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외우길 바란다.완전 1도 : 서로 같은 두 음완전 1도는 같은 두 음을 말한다. 즉 C와 C를 의미한다. 중요한 점은 음의 높이도 똑같다는 점이다.가온 C와 완전 1도가 되려면 똑같이 가온 C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완전 1도에서 주의할 점이 있는데 바로 완전 1도는 감음정이 없다는 점이다.서로 같은 두 음을 말하는 것으로 더 이상 가까워질 수 없기 때문이다.앞에 음이 변하..
2024.11.06
-
가이드 톤(Guide tone)
재즈를 연주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코드를 이해하는 것이다.코드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은 바로 가이드톤이다.또한 보이싱을 만들기 위해 가장 뼈대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론으로 뿐만 아니라 연주 또한 가능해야 한다. 가이드톤은 화음을 구성하고 있는 음들 중에서 화음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음을 말한다.그래서 화음을 연주할 때는 가이드톤을 꼭 넣어줘야 정확한 코드 사운드를 낼 수 있다.가이드톤이 생략되면 모호하고 불분명한 소리가 나게 된다. 근음(Root 또는 1음)먼저 Root 즉 근음은 코드가 쌓이는 기준이 되는 음으로 이름 그대로 화음의 뿌리이다.하지만 밴드 음악인 경우 다른 악기(Bass Guiter or Contra Bass)가 근음을 연주해주기 때문에 피아노에서 ..
2024.11.05
-
예술인 복지재단 : 지원사업편
예술인 복지재단은 문학, 미술(일반 미술, 디자인 및 공예, 전통미술), 사진, 건축, 음악(일반 음악, 대중음악, 국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방송, 공연), 만화 등등 다양한 예술활동을 하고 있는 예술인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예술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공공기관이다. 예술인을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만들고 유용한 지원사업을 진행하는데 그 종류를 알아보자.예술활동 증명재단에서 진행하는 예술인 복지사업 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예술인이고 예술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을 해야만 한다.예술인 복지법에서 규정하는 '예술을 업으로 삼는 사람'임을 증명해야 한다는 뜻이다.예술활동 증명을 통해 예술인으로 등록해놓지 않으면 다양한 예술인 지원을 못 받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꼭..
2024.10.31
-
오디오, 믹싱 용어 정리
홈레코딩을 하고 싶다면 필요한 장비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야 한다.오늘은 특히 오디오와 믹싱에 관련된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오디오 인터페이스 녹음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많은 장비 중 한 가지는 바로 오디오 인터페이스(이하 오인페)이다.특히 홈레코딩을 진행할 경우 개인 컴퓨터에서 프로페셔널한 오디오 작업을 하기 위해 필수로 필요한 오디오 입출력 장비이다.오인페는 녹음 작업을 위한 사운드 카드라고도 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를 말한다.컴퓨터에서 오디오를 입출력하기 위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장치)와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 아날로..
2024.10.30
-
화음의 자리바꿈
같은 화음이라도 연주자마다 선택하는 음과 음들의 순서가 서로 다르다.이것을 바로 보이싱이라고 하는데 보컬들이 개인의 목소리가 서로 다른 것처럼 연주자들 또한 개인의 코드 사운드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보이싱을 잘 만들기 위한 기초작업은 자리바꿈이라고 할 수 있다.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의 나열 순서를 바꿔 연주하는 것을 자리바꿈이라고 한다.1+2+3=6, 2+1+3=6, 3+1+2=6 인 것처럼 구성음이 바뀌지 않는다면 화음 또한 바뀌지 않는다.때문에 자리바꿈은 화음의 구성음을 정확하게 외우고 있어야 쉽게 연주할 수 있다. C화음을 예도 들어보자.C화음의 구성음은 도, 미, 솔이다. 이 3가지 음을 가지고 자리를 바꿔보면 연주 가능한 자리가 3가지가 나오는데1. 도 미 솔2. 미 솔 도3. 솔 도 미이다.간혹..
2024.10.23
-
오선과 계이름
계이름을 읽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특히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것은 이탈리아어인 '도레미파솔라시도'이다.하지만 '도레미파솔라시도'는 이동 도법으로 오선과 악기에서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따라서 우리는 고정도 법인 영어 음이름을 익혀야 한다. 특히 오선과 악기에 계이름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아두어야 하고 악보에 표시된 음이 악기에서 어디에 위치한 음인지 알아두어야 한다.먼저 오선이란 음의 높낮이(이하 음높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섯 줄과 네 칸으로 이뤄져 있다.줄과 칸을 구분할 때는 밑에서부터 위로 읽어야 한다.오선으로는 모든 음을 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준이 되는 음을 지정하지 못하여 음높이를 규정할 수 없다.그래서 음자리표를 활용해 원음 중 가장 중요한 C, F, G음의 ..
2024.10.22
-
음표와 쉼표
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 3요소 중 하나는 박자이다.특히 오늘날 다양한 리듬의 장르가 생겨남에 따라 복잡한 리듬 꼴을 많이 사용하는 현대음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박자 공부는 필수적이다.빠르고 느린 템포에 따라 길고 짧은 박자는 음표를 통해서 구분한다.돈버는 음악이론 _ 음표와 쉼표많은 사람들이 빠르기와 박자를 헷갈려 하기에 잠깐 설명하고 넘어가겠다.빠르기(이하 템포)는 심장이라고 생각해보면 좋을 거 같다.심장은 언제나 일정하게 뛴다.달리기를 해서 숨이 가파를 때는 빠르게 일정하게 뛴다. 잠을 자거나 휴식을 충분히 취했을 때는 느리게 일정하게 뛴다.빠를 수도 있고 느릴 수도 있지만 일정하게 흘러가는 것, 이것이 템포이다.박자는 숨 내뱉기로 생각해보면 좋을 거 같다.숨은 개인이 자유로이 길게 내뱉을 수 있..
2024.09.15
-
3화음(Traid)
앞선 글에서 설명했던 5 음계에서 근음부터 3도씩 위로 쌓아 올리면 3화음(영어로는 Triad라고 한다)이 된다.대부분 화음은 Major 3화음과 minor 3화음을 기준으로 음들이 조금씩 변화하여 다양한 화음이 만들어진다.화음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은 음정이다.근음과 화음 구성음의 음정에 따라 화음 이름(이하 코드네임)이 정해지기 때문이다.먼저 근음과 3음의 음정을 통해 Major 인지 minor 인지 정해진다.장3도이면 Major 계열 화음, 단3도이면 minor 계열 화음이라는 것이다.1. Major : 1 + 3 + 5Major 5 음계를 구성하는 음 중 근음(1음), 3음, 5음을 쌓으면 Major 3화음이 된다.특히 메이저 화음은 근음과 3음이 장3도, 근음과 5음이 완전..
2024.09.14
-
5음계 12key
앞선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5 음계를 12 Key로 정리해보았다.5 음계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모른다면 밑의 글을 먼저 읽고 오길 추천한다.2022.11.17 - [돈버는 음악정보] - [돈버는 반주법] 2. 5음계 [돈버는 반주법] 2. 5음계반주를 하기 위해서는 코드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코드를 알기 위해서는 음계를 알아야 하는데 상대적으로 쉬운 5 음계부터 공부를 해두면 좋다. 먼저 음계란 기준 음부터 정해진 질서대로 배jazzwithmoon.tistory.com 자료를 보면서 12 Key로 반드시 익혀두도록 하자.먼저 Major 5 음계(온온반온)를 12 Key로 정리한 이미지이다.다음은 minor 5 음계(온반온온)를 12 Key로 정리한 이미지다.본인의 악기로 연주해보고 12 키 모두 완벽하게 ..
2024.09.13
-
장음정, 단음정
장음정과 단음정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반음의 유무'이다.두 음 사이에 반음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장음정인지, 단음정인지 알 수 있다.두 음 사이가 온음으로 맞아떨어지면 반음이 없다고 표현하고,온음으로 맞아떨어지지 않고 반음이 남으면 반음이 있다고 표현한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또한 두 음정 사이가 장음정인 상태에서 반음만큼 가까워지면 단음정으로 변하고단음정인 상태에서 반음만큼 멀어지면 장음정으로 변하게 된다는 것을 기억하도록 한다. 2도와 3도: 두 음 사이에 반음이 있으면 단음정, 반음이 없으면 장음정이 된다.2도C와 D, E와 F는 모두 2도 음정이지만 C와 D는 온음, E와 F는 반음이다. 따라서 C와 D는 장 2도, E와 F는 단 2도가 되는 것이다.누군가 설명을 읽고 ..
2024.09.12
-
음정
음정은 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한 가지이다.특히 화성을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실용음악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익혀야 한다.음정은 두음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영어로는 'Interval(간격)'이라고 한다.음정을 나타내는 단위는 바로 '도수'이다. 두 음 간격에 따라 1도, 2도, 3도 등으로 표현한다.서로 같은 두 음의 간격을 1도라고 하고 음 사이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2도, 3도, 등으로 늘어난다.오선 상에서의 기본 음정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음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이는 두 음이 잘 어울리는지, 안 어울리는지의 정도에 따라 나뉜다.먼저 잘 어울리는 두 음정을 완전 음정이라고 하는데 1도, 4도, 5도, 8도이다.나머지 2도, 3도,..
2024.09.11
-
샤프(#)와 플랫(♭)
다양한 음악기호들이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음악기호는 #(샤프 또는 올림표)와 ♭(플랫 또는 내림표)이다.이 둘을 포함하여 ♮(내추럴 또는 제자리표)까지 3개를 임시표 또는 조표라고 한다. 먼저 임시표란 특정 음을 반음 위, 아래로 변화를 주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를 말한다.임시표는 악곡 도중에 표시된 기호로 조표를 제외하고 붙여진다.주의할 점은 한 마디 안에서만 적용이 되고 마디가 지나면 효력을 잃는다는 것이다.다음으로 조표는 각 Key(조)에서 사용하는 구성음을 나타내 주는 기호를 말한다.조표는 곡의 처음에 표시된 기호로 기호가 붙여진 음과 음이름이 같은 모든 음에 적용되며 곡의 처음부터 끝까지 효력을 잃지 않는다.# : 샤프, 올림표원래 음에서 반음을 올려서 연주하면 된다.♭ : 플랫..
2024.09.10
-
5음계
반주를 하기 위해서는 코드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코드를 알기 위해서는 음계를 알아야 하는데 상대적으로 쉬운 5 음계부터 공부를 해두면 좋다. 먼저 음계란 기준 음부터 정해진 질서대로 배열된 음의 나열을 말한다.주의할 점은 상행이면 상행, 하행이면 하행만 해야지 상하행이 번갈아 나타날 수 없다.어떤 종류의 음계인지 구분하기 위해서는 각각 음계가 가지고 있는 구조를 알고 있어야 한다. Major 5 음계: 온음 온음 반음 온음기준 음부터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순서대로 나열 하면 된다.예로 C부터 나열을 해보면 C-D-E-F-G가 된다.같은 방법으로 F Major 5 음계는 F-G-A-Bb-C가 된다. minor 5 음계: 온음 반음 온음 온음기준 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순서대로 나열하면 된다.예로 A부..
2024.09.09
-
영어 음이름
반주는 코드를 활용하여 연주한다.코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지며 다양하게 변화하여 종류가 굉장히 많다.서로 다른 종류의 코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코드가 가지고 있는 성질을 나타내 줄 수 있는 이름이 필요하다. 이를 '코드 네임'이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코드 네임을 붙일 때는 영어 음이름부터 시작된다.따라서 어떤 악기를 배우든 영이름은 반드시 익혀야 한다. 세상에 있는 모든 음은 높이가 있다. 높은음, 낮은음이 있다는 말이다. (이하 음높이로 표현)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음을 나누고 정의했을까? 어떻게 음높이를 구분했을까? 바로 주파수다.주파수 단위인 Hz(헤르츠)를 측정하여 음의 높고 낮음을 구분한 것이다.음파의 진동수가 많을수록 높은음, 진동수가 적을수록 낮은음으로 구분하였다.가장 안정적인 주파수인..
2024.09.08
-
온음 반음
음악을 하기에 앞서 악기를 연주하든 노래를 부르든 가장 기본은 음정이다.그리고 음정의 가장 기본은 온음과 반음이다. 1. 온음은 한 음을 사이에 둔 두 음을 말한다.이때 주의할 점이 있다.피아노로 봤을때 반드시 검은건반을 포함하여 계산해야 한다.기타로 봤을때는 1칸을 1음으로 생각하여 계산하면 된다.C와 D, Eb과 F, F#과 G#, B와 C# 등이 온음이다. 2. 반음이란 가장 가까운 두 음을 말한다.C와 C#, E와 F, A와 Bb, B와 C 등이 반음이 된다.즉 바로 옆에 이웃한 두 음이 반음,반음이 2개 더해지면 온음이라고 한다.
2024.09.07
-
[재즈 추천] My romance (Hank Jones ver.)
오늘 추천곡을 연주한 아티스트는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던 행크존스이다. 행크존스는 웅변적이면서도 서정적인 흠잡을 데 없는 연주로 정상의 자리에 오른다. Hank Jones 소개 행크존스는 60년 가까운 활동 기간 동안 본인 이름 앨범을 60개 이상, 다른 아티스트의 앨범에 세션으로 셀 수 없이 많은 곡을 녹음을 했다. 본명은 헨리 존스 주니어로 1918년 미국 미시시피 주 빅스버그에서 태어났다. 목재 검사관인 아버지와 노래를 부르는 어머니 사이에서 어린 시절부터 음악과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었다. 1948년부터 1953년까지 엘라 피츠제럴드의 반주자로 활동하면서 역사적인 앨범인 'Now's the Time'을 녹음한다. 1959년부터 1975년까지 CBS 스튜디오 직언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면..
2023.02.22
-
[블루스 추천] 오스카 피터슨
음악은 크게 클래식과 재즈로 나뉜다. 재즈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가장 뿌리가 되며 기동이 되는 장르는 단연 블루스이다. 특히 캐나다 출신 피아니스트인 오스카피터슨은 1945년부터 2007년까지 60년 이상을 활동한 재즈 연주자이다. 아트 테이텀과 비슷한 연주 스타일로 속주와 꽉 찬 노트들이 특징이다. 많은 음반이 있지만 그중 몇 가지를 추천하고자 한다. Blues for Big Scotia 1962년 발매된 'Something Warm'이라는 앨범에 수록된 곡이다. 피아노 트리오로 연주된 곡이다. D&E 1964년 발매된 'We Get Requests' 8번 트랙에 수록된 곡으로 트리오로 구성된 연주곡이다. 재즈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가장 많이 추천하는 곡 중 하나이다. Bluesology 1957..
2023.02.13
-
예술인 복지재단 : 생활지원편
예술인복지재단은 예술인이 예술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을 하는 공공기관이다. '예술인 복지법'에 따라 예술인이 창작활동을 증진하게 돕고 예술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지원사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생활 속 불편함을 해소하고 걱정 없이 예술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장받을 수 있는 여러 사업의 종류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 예술로 예술인의 사회적 가치를 확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예술직무영역을 개발하고 사회(기업, 기관 등)와 협업을 통해 일거리를 제공해주는 사업이다. 예술로 사업은 크게 세 가지로 진행된다. 1. 예술로 협업사업 : 기업과 기관, 예술인 상호 간 자율적인 매칭 이후 협의된 협업주제에 기반한 예술협업활동 진행 2. 예술로 기획사업 ..
2022.12.30